경과보고&활동계획

1. 배경 및 경과

­ - 2019년 9월21일은 뉴욕기후정상회의를 앞두고 한국에서 여린 최초의 대규모 기후 집회, 불교환경연대, 신대승네트워크, 실천불교승가회에서 함께 참여함. 집회 참가자 중심으로 불교기후행동에 대한 제한이 있음.

-­ 2019년 10월 29일 불교환경연대 운영위훤회에서 불교기후행동추진의 필요성 공감

­ - 2020년 1월 14일 불교환경연대 기후행동추진단 구성 및 1차 회의

­ - 2020년 1월 20일 전국 주요사찰과 교계 단체에 불교기후행동 제안문 우편, 이메일 발송

­ - 2월 10일 불교환경연대 기후행동추진단 2차 회의 : 불교기후행동 준비위 구성 결의

­ - 2월 24일 1차 준비회의 연기하고 온라인 활동 개시(밴드 개설)

­ - 5월 2차 제안 : 전화연락, 제안문 발송

­ - 5월 20일 1차 준비위원회 회의 : 불교기후행동 조직 결의, 상임대표 선출, 6월 15일 발족 결의

2. 불교기후행동의 위상과 역할

­- 기후위기시대에 부처님의 연기사상과 생명존중사상과 생태적인 문화전통을 살려서 시민의 식전환과 사회시스템의 전환을 위해 활동한다.

­ - 불교계 기후위기 대응을 위한 전국적인 조직으로 개인과 단체, 사찰을 망라한 열린 네트워크

3. 활동방향

­- 기후문제에 대해 심각함을 인식하고 행동하고자 하는 불자들의 자발적인 네트워크 형성하여 선도적인 활동을 전개함.

­- 총무원, 교구본사를 비롯한 전국 본말사, 종단협의회, 교계 각 단체 등이 기후위기를 선언하고 기후행동에 동참하도록 하고 이를 바탕으로 국가가 기후위기 비상사태를 선포하고 실행할 수 있도록 함.

4. 불교기후행동구성

- ­ 구성원 : 사찰, 단체, 개인

­-  공동대표 : 침기단체 대표 + 역량있는 개인/ 사부대중 *명단 별첨

­-  상임대표 : 선일 미광 스님

­-  운영위원회 : 참가단체 실무 책임자 + 역량있는 개인

- 사무국 : 불교환경연대 + 자발적인 참여자

­- 지역별 불교기후행동 조직(현재 광주불교기후행동 구성함)

5. 연간 추진 계획


6월 - 6/16 : 불교기후행동 발족, 기후행동 캠페인 실시

6월~7월 :불교기후학교(울산, 서울, 광주, 전주)

9월 - 9/22 : 종교인 대화마당, 5대 종교 기후위기 비상선언

11월 : 기후 활동가 워크숍

12월 : 평가, 2020년 계획

6. 일상실천

- 불교기후행동의 날 : 매월 셋째 목요일 11시30분~12시30분 피켓시위 광화문 또는 강남

- 기후위기 책읽기 : 매주 수요일 오전 9시~11시(온라인)

- 불교기후행동 밴드에서 기후위기 정보 공유

- SNS에 기후행동 소식 올리기

- SNS에서 기후행동 챌린지 수행하기

- 지역 기후위기 비상행동에 적극적으로 참여하기

- 기후학교, 워크숍 등 활동에 참여하기

7. 불교기후학교

­ - 강좌명 : 1.5℃불교기후학교_에코 법석을 펴다

­ - 목적 : 기후위기에 대한 명확한 이해를 바탕으로 가정, 직장, 지역에서 기후행동을 적극적으로 실천할 지도자를 양성하고, 깨어있는 시민들의 확산으로 생태사회로의 대전환을 이룬다.

­ - 대상 : 불교기후행동 참여단체 임원 활동가, 스님, 회원 + 관심있는 누구나

­- 일시 : 울산 6/13~14 10시 17시. 서울_ 6/16~7/2 화, 목 저녁 7시~9시
전주 6/24~7/27 수요일 저녁 7시~9시, 광주 6/25~7/30 목요일 저녁 7시~9시 ,

­ - 참가비 : 무료

­ - 주최 : 불교환경연대, 불교기후행동

­ - 주관 : 

­ - 후원 : 환경부

 단위프로그램명  교육과정내용
전지구적인 생태위기와 불교사상 환경문제를 초래한
근본원인과 불교적
 관점에서의 해법과
 대안 
 2 지구위기의 실태과
 원인 그리고 실천
기후위기로 인한 실태와 원인, 현상 그리고
어떻게 실천해야하는가
 3환경과 생활 실천 쓰레기 GMO 먹거리 건강등 전반적인 환경문제에 대한 소개 
 4 기후위기와 국제사회의 대응국제사회가 채택한
기후변화 대응 방법과 원칙 
 5코로나 19와 생태순환
사회를 위한 전환 
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사회변화의
방향성 
 6기후비상사태, 무엇을 할 것인가 기후위기에 대응하는 구체적인 실천 방법 
확대